| 전체 | 상설시장 | 1일,6일 | 2일,7일 |
| 3일,8일 | 4일,9일 | 5일,0일 | 기타 |
묘산시장
합천군 묘산면 산제리에 있는 시장이다. 1939년부터 지금까지 인...
경남 합천군
사거리시장
북이면 사거리에서 5일마다 열리는 재래시장. 사거리5일장, 사거리...
전남 장성군
망운전통시장
2007년 망운면 목동리에 개설된 자그마한 시장이다. 장날은 매월...
전남 무안군
함창시장
1960~89년대 우시장이 성황을 이루었던 함창시장은 끝자리가 1...
경북 상주시
공성시장
상주시 공성면 옥산리에 소재한 공성시장은 매월 1, 6일 장이 서...
경북 상주시
상하정기시장
상하면 하장리에 있는 상하시장은 1974년 개장되었으며, 규모는 ...
전북 고창군
번암시장
전북 장수군 번암면에 위치해 있는 번암시장은 1928년에 개설한 ...
전북 장수군
대곡시장
진주시 대곡면 광석리에 위치한 대곡시장. 매달 1일, 6일 마다 ...
경남 진주시
호계공설시장
매달 1일, 6일, 11일, 16일, 21일, 26일에 열리는 호...
울산 북구
용산시장
용산면 인암리에 서는 장으로 매월 1, 6일 5일 간격으로 장이 ...
전남 장흥군
광주 동구
역사
Q. 역사,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하였을까요?
해당 시장의 개장년도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조선 및 구한말
일강기 및 6.25 종전 (1910~1952)
종전, 새마을 운동 이전 (1953~1969)
산업화, 올림픽 이전 (1970~1987)
서울올림픽 이후 현대 (1988~현재)
규모
Q. 규모,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하였을까요?
해당 시장의 점포수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1000개 이상의 유통거점의 초대형 시장
500개 이상과 1000개 미만의 대형시장
100개 이상과 500개 미만의 지역시장
50개 이상과 100개 미만의 동네시장
50개 미만의 골목시장
문화관광형시장으로 선정 / 외국인이 가기 좋은 전통시장에 선정된 대인시장
대인시장은 유일하게 시내에 자리 잡고 있으며 농협공판장이 들어서면서 청과물 도매시장으로 매우 활성화되었다. 1976년에 공영버스터미널이 들어서면서 양동시장과 함께 양대 시장으로 불리며 어물과 채소물 도매까지 시장의 규모를 키웠지만 ,나중에 터미널이 이전하면서 침체기를 겪고 있다. 그러나 시골에서 갓 올라온 온갖 채소들과 어물 및 건어물은 여전히 대인시장의 주력 품목으로 인기를 누리고 있다. 더불어 아직도 시장에 대한 향수를 많이 가진 사람들은 대인시장을 자주 이용하고 있다. 해가 진 뒤에는 폐장 준비를 하는 여느 시장과는 달리, 대인시장은 밤에도 야시장으로 북적인다. 200개가 넘는 야시장 좌판에 청년들과 예술가, 상인들이 판을 차려내는 대인시장 야시장은 매번 다른 테마로 특색있는 콘텐츠를 선보이고 있다. 소박함과 전통이 공존하는 한국의 정을 느끼기 위해 외국인들이 찾는 시장 중 하나이다.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
참여한 트래블파트너가 없습니다.
참여한 주재기자가 없습니다.
참여한 파워리포터가 없습니다.
참여한 한줄리포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