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상설시장 | 1일,6일 | 2일,7일 |
| 3일,8일 | 4일,9일 | 5일,0일 | 기타 |
야로시장
야로면은 가야산 해인사로 통하는 입구이므로 일찍이 문물이 발전하였...
경남 합천군
하동시장
하동군 하동읍에 자리 잡은 하동시장은 174개 점포로 이루어진 중...
경남 하동군
대산시장
1967년 생겨난 대산시장은 역사가 꽤 있는 시장이다. 대산시장은...
전북 고창군
사창시장
처음 장이 선 정확한 연대를 알 수 없지만 일제초까지만 해도 많은...
전남 장성군
시종시장
시종시장은 멀리 목포에서도 장을 봐갔을 정도로 역사가 깊고 이용자...
전남 영암군
세지 5일장
1936년에 생겨나 오랜 시간 동안 이어져 오고 있는 세지 5일장...
전남 나주시
산동5일시장
1956년 개설된 시장으로 매달 2, 7, 12, 17, 22, ...
전남 구례군
서정시장
경기도 평택시 서정동에 위치한 서정시장은 260개 점포로 이루어져...
경기 평택시
언양공설시장
울산 울주군 언양읍에 위치했으며 시장이 위치한 언양삼남권(언양읍,...
울산 울주군
정자시장
울산 북구 정자동에 위치한 노점형의 소형시장으로 장날은 매월 끝자...
울산 북구
서울 서대문구
역사
Q. 역사,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하였을까요?
해당 시장의 개장년도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조선 및 구한말
일강기 및 6.25 종전 (1910~1952)
종전, 새마을 운동 이전 (1953~1969)
산업화, 올림픽 이전 (1970~1987)
서울올림픽 이후 현대 (1988~현재)
규모
Q. 규모,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하였을까요?
해당 시장의 점포수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1000개 이상의 유통거점의 초대형 시장
500개 이상과 1000개 미만의 대형시장
100개 이상과 500개 미만의 지역시장
50개 이상과 100개 미만의 동네시장
50개 미만의 골목시장
1960년 홍제천 주변 둑방에서 자연시장 형태로 시작된 인왕시장은 1972년 인왕시장이라는 상호로 시장이 개설됐다. 초기에는 점포 수가 많지 않았지만 현재는 점포 수만 150개, 좌판은 200개 수준으로 주로 농축산물과 잡화가 주를 이룬다. 72년 개설 당시에는 용산청과시장 중간상 역할을 주로 하였으나 현재는 서부상권의 주요 재래시장으로 자리 잡았다. 이곳에는 100여 개의 농산물 판매업소가 있는데, 농산물을 직접 조달하여 저렴한 가격에 신선하고 품질이 우수한 농산물을 만날 수 있다. 근래에는 전통시장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커피숍과 꽃집 그리고 어린이놀이 카페, 설치미술 갤러리 등을 열었고, 공중화장실도 만들었다. 공동무료배송센터도 개관하여, 시장 반경 2km 이내 홍제, 홍은, 연희동은 물론 종로구 세검정, 은평구 녹번동까지 무료배달이 가능하다. 매월 두 번째, 네 번째 일요일에는 시중 가격보다 10~30% 저렴하게 살 수 있는 직거래 장터도 운영한다.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