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상설시장 | 1일,6일 | 2일,7일 |
| 3일,8일 | 4일,9일 | 5일,0일 | 기타 |
함창시장
1960~89년대 우시장이 성황을 이루었던 함창시장은 끝자리가 1...
경북 상주시
공성시장
상주시 공성면 옥산리에 소재한 공성시장은 매월 1, 6일 장이 서...
경북 상주시
묘산시장
합천군 묘산면 산제리에 있는 시장이다. 1939년부터 지금까지 인...
경남 합천군
대곡시장
진주시 대곡면 광석리에 위치한 대곡시장. 매달 1일, 6일 마다 ...
경남 진주시
번암시장
전북 장수군 번암면에 위치해 있는 번암시장은 1928년에 개설한 ...
전북 장수군
상하정기시장
상하면 하장리에 있는 상하시장은 1974년 개장되었으며, 규모는 ...
전북 고창군
용산시장
용산면 인암리에 서는 장으로 매월 1, 6일 5일 간격으로 장이 ...
전남 장흥군
사거리시장
북이면 사거리에서 5일마다 열리는 재래시장. 사거리5일장, 사거리...
전남 장성군
망운전통시장
2007년 망운면 목동리에 개설된 자그마한 시장이다. 장날은 매월...
전남 무안군
호계공설시장
매달 1일, 6일, 11일, 16일, 21일, 26일에 열리는 호...
울산 북구
서울 마포구
역사
Q. 역사,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하였을까요?
해당 시장의 개장년도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조선 및 구한말
일강기 및 6.25 종전 (1910~1952)
종전, 새마을 운동 이전 (1953~1969)
산업화, 올림픽 이전 (1970~1987)
서울올림픽 이후 현대 (1988~현재)
규모
Q. 규모,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하였을까요?
해당 시장의 점포수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1000개 이상의 유통거점의 초대형 시장
500개 이상과 1000개 미만의 대형시장
100개 이상과 500개 미만의 지역시장
50개 이상과 100개 미만의 동네시장
50개 미만의 골목시장
연남동의 상가건물 안에 위치한, 자그마한 재래시장이다. 1974년에 건립되어 40년 동안 시장을 유지해왔으나, 현재는 번화가와 대형마트로 인해 상권이 많이 죽은 상태다. 의류, 도배, 꽃집, 방앗간, 철물점 등 23개의 가게가 운영되고 있으며, 9시부터 20시까지 운영한다. 주목할만한 점은 시장 자체가 활성화되고 있진 않지만, 시장 곳곳이 젊은이들의 새로운 공간으로 재탄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동진시장과 뒷골목 점포 일대가 음식점, 옷 가게로 변신하고 있으며, 시장 내 공간은 리모델링 되어 예술가들의 작업실과 아뜰리에로 이용되고 있다고 한다. 직접 방문하여 시장과 예술의 긍정적인 만남을 살펴보는 건 어떨까?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