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상설시장 | 1일,6일 | 2일,7일 |
| 3일,8일 | 4일,9일 | 5일,0일 | 기타 |
서정시장
경기도 평택시 서정동에 위치한 서정시장은 260개 점포로 이루어져...
경기 평택시
언양공설시장
울산 울주군 언양읍에 위치했으며 시장이 위치한 언양삼남권(언양읍,...
울산 울주군
야로시장
야로면은 가야산 해인사로 통하는 입구이므로 일찍이 문물이 발전하였...
경남 합천군
시종시장
시종시장은 멀리 목포에서도 장을 봐갔을 정도로 역사가 깊고 이용자...
전남 영암군
산동5일시장
1956년 개설된 시장으로 매달 2, 7, 12, 17, 22, ...
전남 구례군
정자시장
울산 북구 정자동에 위치한 노점형의 소형시장으로 장날은 매월 끝자...
울산 북구
사창시장
처음 장이 선 정확한 연대를 알 수 없지만 일제초까지만 해도 많은...
전남 장성군
세지 5일장
1936년에 생겨나 오랜 시간 동안 이어져 오고 있는 세지 5일장...
전남 나주시
하동시장
하동군 하동읍에 자리 잡은 하동시장은 174개 점포로 이루어진 중...
경남 하동군
대산시장
1967년 생겨난 대산시장은 역사가 꽤 있는 시장이다. 대산시장은...
전북 고창군
충북 충주시
역사
Q. 역사,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하였을까요?
해당 시장의 개장년도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조선 및 구한말
일강기 및 6.25 종전 (1910~1952)
종전, 새마을 운동 이전 (1953~1969)
산업화, 올림픽 이전 (1970~1987)
서울올림픽 이후 현대 (1988~현재)
규모
Q. 규모,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하였을까요?
해당 시장의 점포수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1000개 이상의 유통거점의 초대형 시장
500개 이상과 1000개 미만의 대형시장
100개 이상과 500개 미만의 지역시장
50개 이상과 100개 미만의 동네시장
50개 미만의 골목시장
문화관광형시장으로 선정된 충주자유시장
다닥다닥 붙어 있는 충주 시장에 생각 없이 들어서면 10분도 되지 않아 자기가 있는 곳이 어느 시장인지 알 수 없게 된다. 그래서 헷갈리지 않도록 기준을 잡는 게 필요하다. 보통 이곳으로 온 여행객은 자유시장을 시작으로 공설시장을 가로질러 무학시장 쪽으로 가는 코스를 택하곤 한다. 자유시장으로 들어가는 입구에 있는 슈퍼는 이럴 때마다 훌륭한 이정표가 된다. 자유시장의 주력상품으로는 의류와 한복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곳의 아케이드에는 심심찮게 서예, 문인화 등 예술작품이 걸려 한복과 어울리는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하지만 그저 고풍스럽기만 한 게 아니라, 주민이 직접 생산한 농산물로 노점을 벌이는 정겨운 모습도 함께 볼 수 있다.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