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상설시장 | 1일,6일 | 2일,7일 |
| 3일,8일 | 4일,9일 | 5일,0일 | 기타 |
신북시장
신북장은 공식적으로는 1964년에 개설된 것으로 기록돼 있으며 2...
전남 영암군
진보시장
끝자리가 3자나 8자인 날에 장이 선다. 청송의 명물 청송 꿀사과...
경북 청송군
복흥시장
1923년에 생겨나 90년이 넘게 이어오고 있는 복흥 시장은 순창...
전북 순창군
좌일5일시장
흥촌리에 있는 작은 5일장. 재래시장이 쇠퇴하면서 좌일5일시장도 ...
전남 해남군
생초시장
산청군 생초면 어서리에 위치한 시장. 매달 3일, 8일마다 장이 ...
경남 산청군
남원인월시장
인월시장이 위치한 인월면은 사통오달의 교통중심지로 예로부터 전라도...
전북 남원시
주암시장
주암시장은 순천시 주암면 광천리에 열리며 매월 3일과 8일에 장이...
전남 순천시
신흥시장
신흥시장은 매월 3, 8, 13, 18, 23, 28일에 장이 열...
경북 문경시
천관산관광시장
1961년 개설된 상가주택건물형의 시장으로 장날은 매월 끝자리 3...
전남 장흥군
문막시장
문막시장의 유래는 정확히 알려진 바 없으나 100여전부터 우시장과...
강원 원주시
강원 철원군
역사
Q. 역사,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하였을까요?
해당 시장의 개장년도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조선 및 구한말
일강기 및 6.25 종전 (1910~1952)
종전, 새마을 운동 이전 (1953~1969)
산업화, 올림픽 이전 (1970~1987)
서울올림픽 이후 현대 (1988~현재)
규모
Q. 규모,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하였을까요?
해당 시장의 점포수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1000개 이상의 유통거점의 초대형 시장
500개 이상과 1000개 미만의 대형시장
100개 이상과 500개 미만의 지역시장
50개 이상과 100개 미만의 동네시장
50개 미만의 골목시장
동송지역은 철원평야를 가로지르는 현무암 협곡으로 이루어진 수려한 한탄강을 배경으로 레저관광이 발달하여 직탕폭포에서부터 고석정까지 번지점프, 래프팅, 산악자전거, 서바이벌 게임 등 다양한 즐길거리가 있으며 특히 게르마늄온천과 임꺽정의 전설이 묻어 있는 고석 및 고석정의 풍광은 아름답기로 유명하며 남한의 이승만과 북한의 김일성이 반반씩 지었다 해서 이름 붙여진 승일교가 역사의 흐름을 말해 주는 듯 유유히 흐르는 한탄강위에 아직도 자리를 지키고 있다. 동송읍 이평리는 1945년 해방이 된 후에 북한에 편입 되었다가 1950년 한국전쟁으로 수복되었고 1954년 6월부터 민간인들이 살기 시작한 지역이다. 이평리장은 1954년 이후에 지역주민들의 생활필수품을 물물 교환하기 위해 자생적으로 생겨난 시장으로 철원에서 생산되는 각종 농특산물을 구입할 수 있는 철원군에서 가장 큰 시장이며 인근 경기도 포천군 주민들도 다수 이용할 정도로 규모가 크다. 주변지역의 거주인구와 군 면회객들이 많아 초기의 시장규모 보다 대폭 증가하고 있으며, 먹거리 시장이 유명하다. 철원군 동송읍에 위치한 동송시장은 철원에서 인구와 지역의 규모가 가장 큰 곳으로 시장내에 상설시장인 (사)동송시장번영회와 인정시장('07.4.2)인 동송시장이 산재하고 있다. '04년 총사업비 760백만원의 사업비를 투자하여 등록시장에 대한 리모델링 등을 완료하였으며 '07이후 총사업비 4430백만원을 투자하여 아케이드 공사, 화장실 신축 등 고객편의시설을 조성하였다. 등록시장은 건물규모는 지하1층, 지상3층의 철근콘크리트 건물이며 시장종사자수는 166명으로 점포수는 200개로 운영은 (사)동송시장번영회와 동송시장상인회에서 각각 관리하고 있다. 시장설립일은 '81.1.7일이며, 주로 5,10일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주변에 하나로마트가 인접하여 있다. 동송시장의 주요업종으로는 오대쌀, 농산물, 식당, 의류, 잡화, 주방기구, 어류 등의 업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 해당 시장은 상설로도 운영됩니다.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