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상설시장 | 1일,6일 | 2일,7일 |
| 3일,8일 | 4일,9일 | 5일,0일 | 기타 |
묘산시장
합천군 묘산면 산제리에 있는 시장이다. 1939년부터 지금까지 인...
경남 합천군
사거리시장
북이면 사거리에서 5일마다 열리는 재래시장. 사거리5일장, 사거리...
전남 장성군
망운전통시장
2007년 망운면 목동리에 개설된 자그마한 시장이다. 장날은 매월...
전남 무안군
함창시장
1960~89년대 우시장이 성황을 이루었던 함창시장은 끝자리가 1...
경북 상주시
공성시장
상주시 공성면 옥산리에 소재한 공성시장은 매월 1, 6일 장이 서...
경북 상주시
상하정기시장
상하면 하장리에 있는 상하시장은 1974년 개장되었으며, 규모는 ...
전북 고창군
번암시장
전북 장수군 번암면에 위치해 있는 번암시장은 1928년에 개설한 ...
전북 장수군
대곡시장
진주시 대곡면 광석리에 위치한 대곡시장. 매달 1일, 6일 마다 ...
경남 진주시
호계공설시장
매달 1일, 6일, 11일, 16일, 21일, 26일에 열리는 호...
울산 북구
용산시장
용산면 인암리에 서는 장으로 매월 1, 6일 5일 간격으로 장이 ...
전남 장흥군
부산 중구
역사
Q. 역사,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하였을까요?
해당 시장의 개장년도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조선 및 구한말
일강기 및 6.25 종전 (1910~1952)
종전, 새마을 운동 이전 (1953~1969)
산업화, 올림픽 이전 (1970~1987)
서울올림픽 이후 현대 (1988~현재)
규모
Q. 규모,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하였을까요?
해당 시장의 점포수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1000개 이상의 유통거점의 초대형 시장
500개 이상과 1000개 미만의 대형시장
100개 이상과 500개 미만의 지역시장
50개 이상과 100개 미만의 동네시장
50개 미만의 골목시장
문화관광형 시장으로 선정 / 외국인이 가기 좋은 전통시장에 선정된 부평시장
중구 부평동에 위치하고 있는 부평시장은 바로 국제시장의 ‘깡통시장’의 원래 이름이다. 수입 용품이 주를 이루며 반찬, 젓갈, 김치, 양념, 튀김 등도 판매한다. 비빔당면을 비롯해서 단팥죽, 족발, 호떡 등 먹거리도 볼거리도 풍부한 대형시장이다. 2005년 12월 5일 인정시장으로 등록되었으며 의류, 과일, 채소, 가정용품이 많이 있다. 오전 8시에 개점해서 오후 8시에 폐점하는데, 정확한 정기휴일은 알기 어렵다. 넓은 규모인 만큼 다양한 골목이 있다. 특히 수입 과자 골목이 유명한데, 국내에서 접하기 힘든 수입 과자 및 식재료, 술을 포함하여 여러 해외 잡화를 쉽게 구매할 수 있어 부산을 찾는 관광객들의 호기심을 자아낸다. 또 한 쪽 아케이드에는 어묵 골목이 이어져 다양한 모양과 맛의 어묵을 판매해 부산의 특산품인 '부산어묵'의 이름을 증명한다. 부평시장은 국제시장과도 바로 이어져 있어 다양한 물품 구매 및 쇼핑을 할 시 편리하며, 이런 접근성과 먹거리, 주변 관광지 연계까지 하여 외국인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가 되는 요인이 되었다.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