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문화 | 탐사 | 명물 | 
| 시티투어 | 
					
					             			        
			        [시티투어] 서울         
                    1층 버스와 함께하는 서울 시티투어, 도심·고궁 코스
                    
                
                
            
					
					             			        
			        [시티투어] 전북         
                    전라북도 순환관광 : 서울출발 동북권 B코스 (매월 2,4주 토요일)
                    
                
                
                	
                
            
					
					             			        
			        [시티투어] 전북         
                    전라북도 순환관광 : 서울출발 서남권 A코스 (매월 1,3주 토요일)
                    
                
                
                	
                
            
					
					             			        
			        [시티투어] 대구         
                    대구광역시의 시티투어_낙동강 코스
                    
                
                
            
					
					             			        
			        [시티투어] 부산         
                    부산광역시의 시티투어_부산역출발 야경 투어
                    
                
                
            
					
					             			        
			        [시티투어] 인천         
                    인천광역시의 시티투어 - 시내코스 3차
                    
                
                
            
					
					             			        
			        [시티투어] 부산         
                    부산광역시의 시티투어_레드라인
                    
                
                
            
					
					             			        
			        [시티투어] 대전         
                    대전시티투어 수요일 과학투어 코스 2
                    
                
                
            
					
					             			        
			        [시티투어] 인천         
                    인천광역시의 시티투어 - 시내코스 2차
                    
                
                
            
					
					             			        
			        [시티투어] 부산         
                    부산광역시의 시티투어_그린라인 
                    
                
                
            대전을 비롯한 충청도 지역은 삼국시대 당시 백제의 영토 안에 있었던 곳이다. 오랜 시간이 흐른 지금까지 이 지역에는 백제의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명소들이 남아있다. 대전시티투어 토요일 백제문화유산 1일투어 코스는 찬란했던 백제의 문화를 몸소 느낄 수 있다는 점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주목을 받았다. 이 코스는 첫 번째, 세 번째 주 일요일에 진행되며, 대전과 보은의 문화유산들을 만날 수 있다.
						
						
					
                
                
							
									
									왜구가 신라의 수도인 경주로 침입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722년(신라 성덕왕 21년)에 돌로 쌓은 성으로, 모화리의 동쪽 산아래까지 뻗어 전체 길이가 약 12km에 이른다. 삼국유사에는 각간 원진이 39,262명의 인원을 동원하여 쌓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원래는 모벌군성, 모벌관문으로 불리었는데, 조선시대에 들어와 관문성으로 부르게 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왜구가 신라의 수도인 경주로 침입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722년(신라 성덕왕 21년)에 돌로 쌓은 성으로, 모화리의 동쪽 산아래까지 뻗어 전체 길이가 약 12km에 이른다. 삼국유사에는 각간 원진이 39,262명의 인원을 동원하여 쌓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원래는 모벌군성, 모벌관문으로 불리었는데, 조선시대에 들어와 관문성으로 부르게 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주소울산광역시 북구 천곡동
									연락처052-229-3853 		
								
							
									
									경주에서 울산방면으로 약2Km 떨어진 곳에 있는 이화마을을 중심으로 대략 20만평에 달한다. 청동기시대의 장방형 주거지가 1993년에 조사된 바 있고, 신라시대의 합구식 옹관묘, 옹관석곽유구, 그외 주조철부거푸집 등의 야철 유적 흔적등이 확인되었다. 이에 중산리 유적은 청동기시대부터 신라시대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쳐 생활했던 터전으로 추정되고 있다. 
									경주에서 울산방면으로 약2Km 떨어진 곳에 있는 이화마을을 중심으로 대략 20만평에 달한다. 청동기시대의 장방형 주거지가 1993년에 조사된 바 있고, 신라시대의 합구식 옹관묘, 옹관석곽유구, 그외 주조철부거푸집 등의 야철 유적 흔적등이 확인되었다. 이에 중산리 유적은 청동기시대부터 신라시대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쳐 생활했던 터전으로 추정되고 있다. 
								
									주소울산광역시 북구 중산동
									연락처052-229-3853 		
								
							
									
									독립운동가 박상진 의사가 살았던 집으로, 전체 4동으로 이루어진 목조기와집이다. 박상진 의사는 박상진의사는 만주에서 독립군을 양성하여 무력으로 독립을 달성할 목적으로 대한광복회 총사령관을 맡아 활동했다. 13간의 안채, 부속채 등과 함께 전체적으로 'ㅂ'자형의 배치형태를 갖는 조선후기 상류계층 가옥의 전형적인 형태를 갖추고 있다.
									독립운동가 박상진 의사가 살았던 집으로, 전체 4동으로 이루어진 목조기와집이다. 박상진 의사는 박상진의사는 만주에서 독립군을 양성하여 무력으로 독립을 달성할 목적으로 대한광복회 총사령관을 맡아 활동했다. 13간의 안채, 부속채 등과 함께 전체적으로 'ㅂ'자형의 배치형태를 갖는 조선후기 상류계층 가옥의 전형적인 형태를 갖추고 있다.
								
									주소울산광역시 북구 송정동
									연락처052-229-3853 		
								
							
									
									무룡산 자락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인 통도사의 말사다. 도솔암은 두 창신녀가 도솔천의 의미를 되새기고자 지은 것이다. 도솔암 내의 삼성각 건물은 19세기 말~20세기 초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목조 기와집으로써, 건물 내부 천정에 베니어 합판을 대어 전기 배선을 가린 점과 외부 기단과 계단을 시멘트로 보강한 점 등만 개선한다면 현존하는 삼성각 건물로는 문화재적 가치가 높은 건물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무룡산 자락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인 통도사의 말사다. 도솔암은 두 창신녀가 도솔천의 의미를 되새기고자 지은 것이다. 도솔암 내의 삼성각 건물은 19세기 말~20세기 초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목조 기와집으로써, 건물 내부 천정에 베니어 합판을 대어 전기 배선을 가린 점과 외부 기단과 계단을 시멘트로 보강한 점 등만 개선한다면 현존하는 삼성각 건물로는 문화재적 가치가 높은 건물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주소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중리 211
									연락처052-269-1755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