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문화 | 탐사 | 명물 |
시티투어 |
1980년 5.18광주민중항쟁이 발발 열흘 후, 새벽을 기해 계엄군이 광주 동구에 재진입을 꽤했다. 그중 옛 전남도청과 YMCA 건물을 주요 표적으로 삼아 무장시위대를 체포하고 살상을 일삼았다. 계엄군에 맞선 광주민의 애환 서린 사적지를 둘러보며 광주의 희생정신을 되새기는 여정만큼 인생에 참 의미를 주는 일도 없을 것이다.
1976년 개설돼 90년대까지 시장 본연의 기능을 갖고 활기를 띠었던 대인시장은 2000년대 들어 쇠락의 길을 걸었다. 그러나 최근 문화적 특성을 결합한 ‘예술시장’으로 브랜드를 형성하면서 전시 및 체험 코스로 사람들을 다시 끌어 모으고 있다. 현재 시민, 활동가, 작가 등 예술 관련 종사자들이 대인시장 안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다.
1976년 개설돼 90년대까지 시장 본연의 기능을 갖고 활기를 띠었던 대인시장은 2000년대 들어 쇠락의 길을 걸었다. 그러나 최근 문화적 특성을 결합한 ‘예술시장’으로 브랜드를 형성하면서 전시 및 체험 코스로 사람들을 다시 끌어 모으고 있다. 현재 시민, 활동가, 작가 등 예술 관련 종사자들이 대인시장 안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다.
주소광주광역시 동구 대인동 310-9
연락처062-233-1421
인사동과 더불어 한국의 대표적인 예술의 거리로 손꼽히는 광주예술의 거리는 광주 동부경찰서 앞에서 중앙로까지 300여 미터에 이른다. 1987년 예술의 거리로 공식 지정된 이곳은 갤러리와 화방, 표구점, 소극장, 전통찻집을 비롯해 골동품점, 고서당, 보문당, 고전방, 고서점 등 전통문화의 향기를 느낄 수 있는 가게들이 광주의 자존심을 지켜가고 있다.
인사동과 더불어 한국의 대표적인 예술의 거리로 손꼽히는 광주예술의 거리는 광주 동부경찰서 앞에서 중앙로까지 300여 미터에 이른다. 1987년 예술의 거리로 공식 지정된 이곳은 갤러리와 화방, 표구점, 소극장, 전통찻집을 비롯해 골동품점, 고서당, 보문당, 고전방, 고서점 등 전통문화의 향기를 느낄 수 있는 가게들이 광주의 자존심을 지켜가고 있다.
주소광주광역시 동구 궁동
연락처062-960-8254
한때 젊음의 거리로 통했던 충장로는 현재 생동감과 박진감이 넘쳐흐르는 패션의 거리로 거듭나 있다. 충장공 김덕령 장군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1946년 그의 시호를 붙였다. 충장로 1가에서 3가까지는 대형패션몰, 의류매장,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각종 잡화점들로 채워져 있고, 4가와 5가에는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한복, 개량한복 전문집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다.
한때 젊음의 거리로 통했던 충장로는 현재 생동감과 박진감이 넘쳐흐르는 패션의 거리로 거듭나 있다. 충장공 김덕령 장군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1946년 그의 시호를 붙였다. 충장로 1가에서 3가까지는 대형패션몰, 의류매장,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각종 잡화점들로 채워져 있고, 4가와 5가에는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한복, 개량한복 전문집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다.
주소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5가
연락처062-960-8254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
참여한 트래블파트너가 없습니다.
참여한 주재기자가 없습니다.
참여한 파워리포터가 없습니다.
참여한 한줄리포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