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 예술을 한 자리에, 강동아트센터
자연과 문화를 한 자리에서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공간이 있다. 복합문화예술 공간인 강동아트센터가 선두주자로서 지역구민들을 끌어 모은다. 가까운 데에서 즐기도록 문화예술의 생활화를 꿈꾸는 강동아트센터는, 명일근린공원 내에 위치한다. 문화와 예술을 향유하며 자연친화적인 여유를 선물하는 센터를 둘러보자.
방문객을 맞는 트인 강동아트센터 입구
강동아트센터는 구가 직접 운영하며 지역주민의 편의를 위해 설립됐다. 공원 내에 위치해 자연친화적 공간을 제공하려는 비전을 갖는다. 그 실천의 방향으로 남녀노소 불문하고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구성하고 기획하며 관객 참여형 프로그램도 확대하고 있다. 공연을 올리기도 하며 창작예술거점의 공간으로 지역예술인의 육성과 창작을 지원한다. 뿐만 아니라 특정대상에게 혜택을 제공해 지원하는 문화나눔사업 등도 진행함으로써 사회공헌에도 기여한다.
수려한 외관과 녹지의 연결, 편의시설도 구비된 합리적 인프라
1
2
1
2
입장하면 푸른 녹지를 둘러싼 센터가 한 눈에 보이도록 조성돼있다
다만 화려함만을 추구하는 건물이 아닌 센터는 공간성을 확장해, 탐구를 유발하는 매력적인 건축물이다. 주변 환경과 소통하는 장으로서 강동아트센터는 자연친화적인 문화예술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명일근린공원 내에 위치해 공원의 푸른 녹지가 경관을 더하고 기존 공원의 산책로와 연결돼있어 공원과 센터가 자연스런 흐름으로 연결된다. 소통을 주제로 하는 건축 콘셉트답게 연결을 확장하며 주변 맥락의 쉬운 유입도 고려한다. 유기성은 공원을 아우르고 스튜디오, 아트갤러리, 로비, 카페 등으로 이어져 찾는 이에게 각기 다른 구역이 아니라 하나의 공간으로 인지되게끔 한다.
소통함으로써 하나를 주지하는 공간으로 태어나는 센터는 지역성도 건축 디자인 요소에 반영했다. 우리나라 선사시대를 대표하는 강동구 암사동 유적에서 볼 수 있는 빗살무늬토기 문화를 건물 내 외부 공간에 활용했다. 토기의 균열로 시간의 누적을 표현했고 빗살무늬는 접근성과 방향을 안내한다.
강동아트센터에서 볼거리와 즐길 거리는
1
2
1
곳곳에 심미성이 돋보이는 예술적 조각품들
2
강동아트센터 중앙에 걷기 좋은 산책길이 갈래나있다
센터에서 볼 수 있는 공연 및 전시와 즐길 거리의 프로그램은 다양하게 마련돼있다. 올해 하반기에는 역사 속 동양화를 감상하고 그림을 그려보는 ‘반갑다 한국화야’, 탐험과 탐사를 기록한 ‘내셔널지오그래픽전’, 타악기 앙상블을 펼치는 ‘목요예술무대’, 상트 페테르부르크 국립 아이스발레단의 내한공연, 소설 정글북을 주된 모글리 이야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동물 시점에서 재구성해 담은 연극 ‘정글북’ 등 외에도 다수의 공연을 예정한다. 공연과 전시를 올리는 프로그램 외에 또한 구민들을 위한 아카데미도 운영한다. 미술, 음악, 무용,연극을 배우고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강동아트센터에서 예술의 감성을 충만하고 자연을 벗삼아 걷는 건 어때요?
글 트래블투데이 편집국
발행2017년 08월 07 일자